우리가 원하든 원하지 않든 세상은 급속도로 변해 갑니다. 요즘 세상이 변화하는 속도는 너무나도 빨라서 따라가기가 버거울 정도입니다. 그리고 이런 세상의 변화에 대처하는 방법은 사람들마다 모두 다릅니다.
세상에 수많은 종류의 사람들이 있듯, 변화에 반응하는 사람들의 반응도 가지가지입니다. 대표적인 CASE를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변화를 주도하는 사람
세계 0.1%에 속하는, 그래서 세상의 변화를 이끌고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세상을 바꾸는 사람들입니다. 머리가 매우 똑똑하고 야심에 가득 차 있으며 특히 하이테크 분야에서 뛰어난 능력을 발휘합니다. 이들은 주로 기업에서 일을 하며 세계적으로 매우 유명하고 거기다 엄청난 부자인 경우가 많습니다.
빌 게이츠, 스티브 잡스, 엘론 머스크, 마크 저커버그, 래리 페이지, 마윈, 손정의 등등.
윈도우로 운영체제시장을 장악한 빌 게이츠
아이폰으로 휴대폰 업계를 통째로 바꿔버린 스티브 잡스
전기자동차 테슬라를 시작으로, 다방면으로 혁신을 이끌어 가는 엘론 머스크
2. 변화를 따라가는 사람
변화를 주도할 정도로 뛰어나지는 않지만, 뒤쳐지지는 않으면서 변화를 계속 따라가는 사람들입니다. 일반화할 수는 없지만 대체로 나이가 젊고 기술변화와 첨단제품에 관심이 많으며 관련 커뮤니티 활동도 활발하게 합니다.
신제품이 나오면 먼저 사서 다루어 보고, 첨단기술제품을 능숙하게 다룹니다. 인터넷 커뮤니티나 블로그, 유튜브 등을 이용하여 관련 지식 분야를 소개하면서 자신을 알리고 수익을 창출하기도 합니다. 위 0.1%처럼 변화를 주도하지는 않지만 바뀐 변화를 빨리 받아들여 자기 것으로 소화해서 거기서 다시 어떤 가치나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사람들입니다.
3. 변화에 뒤쳐지는 사람
변화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고 뒤쳐지는 사람들입니다. 역시나 마찬가지로 일반화 할 수는 없지만 2번,변화를 따라가는 사람과 반대되는 특성을 지녔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나이가 비교적 많고, 그래서 첨단제품과 기술의 변화를 제대로 감지하기 어려운 어르신분들이 여기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겠죠.
그래서 과거의 관습이나 지식에 머물러 거기서 벗어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너무나도 빨리 변화하는 세상의 변화를 따라잡을 수 없는 사람들인 것이죠.
4. 변화에 무관심한 사람
세상의 변화에 무관심한 사람도 많이 있습니다. 세상이 변하든 말든 나는 그저 내 할일을 하며 살련다 라는 독야청정형 사람들이죠. 그냥 무관심한 사람도 있고, 자기가 할 것 열심히 하면서 변화에는 무관심한 사람들이 있습니다. 아주 가끔 자기 분야에서 탁월한 성과를 낸(그렇지만 세상의 신문물에는 어두운) 사람이 나오기도 합니다.
5. 변화를 거부하는 사람
기술발전에 따른 변화를 격렬하게 거부하는 사람들도 존재합니다. 대체로 근본주의적인 믿음을 가진 종교인들이 많습니다. 새로운 과학,기술의 발전이 신에 대한 도전이다,혹은 자신들의 교리에 맞지 않는다 하여 성명을 내고 시위를 하고 데모를 하죠. 정말 갑갑한 사람들입니다. 지구가 성경에 나온대로 6천년전에 만들어졌다고 믿는 사람들, 지구가 평평하다고 믿는 사람들, 태양이 지구 주위를 돈다고 믿는 사람들, 신이 인간을 만들었다고 믿는 사람들 등등.
21세기에 어떻게 저런 사람이 있을 수 있나 싶겠지만 세상에는 정말 많은 사람들이 있고 그만큼 정말 다양한 사람들이 존재하기 마련입니다. 저런 사람들, 아직도 많이 존재합니다. 그리고 그 믿음을 주변에 전파하려고 애쓰고 있습니다.
이러나 저러나, 세상은 1번의 사람들이 이끌어갑니다. 그리고 2번 사람이 협력을 해서 판을 만들어가죠. 3,4,5번은 1,2번이 만들어가는 변화 속에서 그저 휩쓸려 갈 뿐입니다. 1번이 되기는 쉽지 않습니다. 정말 세계의 0.01% 이내에 들어가는 천재들만이 할 수 있는 일이죠. 타고난 천재성과 함께 사회적인 인프라와 분위기도 받쳐 주어야 합니다.
1번이 될 수 없다면, 2번이라도 되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세상의 변화를 민감하게 지켜보면서 흐름에 뒤쳐지지 않고 빠르게 따라잡도록 노력을 해야 하겠죠. 그래야 세상의 변화에 휩쓸리지 않으면서 주도적으로 만들어가는 삶을 살 수 있습니다.
'일상 다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회의 기초 질서 준수 수준에 대한 생각 (0) | 2020.02.18 |
---|---|
육아의 어려움_아기 키울 때 주의해야 할 작은 팁 (0) | 2020.02.14 |
리스크 관리의 중요성, 기업도 개인의 인생에도 리스크 관리가 중요하다 (0) | 2020.02.12 |
독일의 브라질 월드컵 우승으로 본 '시스템'의 중요성 (0) | 2020.02.09 |
직장인이 갖추어야 할 "능력" (0) | 2020.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