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태복음 효과라는 것이 있습니다 "무릇 있는 자는 더욱 받아 풍족하게 되고, 없는 자는 있는 것까지도 빼앗기리라" 가진 자는 더 부자가 되고 가난한 자는 더 가난해진다.. 한마디로 부익부 빈익빈 현상을 말하는 것입니다.
저는 종교를 믿지는 않지만 성경에 나오는 위 문구 "무릇 있는 자는 더욱 받아 풍족하게 되고, 없는 자는 있는 것까지도 빼앗기리라"는 정말 세상사를 정확하게 꿰뚫어본 통찰력 있는 문구라고 생각을 합니다.
그 옛날에도 세상은 지금과 별 다를바가 없었구나, 가진 자들은 계속 더 가지게 되고 그렇지 못한 가난한 자들은 아무리 발버둥을 쳐도 가난하게 살고 그 가난이 대물림되는 그런 삶을 살았구나 하는 씁쓸한 생각이 들었습니다.
빈부격차의 대명사, 고급주상복합 아파트
예전에 한창 인기있던 프로듀스101에서도 이런 부익부 빈익빈 현상을 볼 수 있습니다. 상위권 연습생들은 계속해서 센터를 차지한다던가, 메인보컬을 한다던가 하는 식으로 좋은 기회를 얻어 카메라 노출 빈도를 높일수 있게 되고, 그래서 더 많은 표를 얻어 계속 상위권을 유지하고, 그래서 다시 더 많은 표를 얻게 되고.. 이게 반복이 되지요.
카메라에 나오는 연습생들은 그만큼 많은 팬을 확보하게 되고, 팬들이 여론을 만들고, 그럼 그 여론을 본 방송사 측은 시청률을 유지하기 위해 계속해서 그 인기있는 연습생을 카메라에 비춰주게 됩니다.
반대로 초기에 이런 기회를 놓친 연습생들은 카메라에 노출될 기회가 점점 줄어들고, 팬이 많이 생기지 않고, 그러다 보니 시청률에 영향을 줄 만큼의 인기를 얻지 못해서 계속 카메라에서 외면 당합니다.
연습생들 사이에도 부익부 빈익빈이 생기는 것입니다.
프로듀스101의 최고 인기 연습생 중 한명인 김세정 연습생
마찬가지로 뛰어난 외모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주결경 연습생
반면 하위권 연습생들에게는 정확히 반대의 현상이 나타납니다. 좋은 기회를 얻지 못하니 카메라 노출이 적어지고, 그래서 그만큼 자신을 알릴 수 있는 기회가 줄어들고, 그래서 표를 저게 얻고, 그만큼 상위권 연습생들과의 격차는 계속 늘어나게 되죠. 하위권 연습생 중에서도 뛰어난 외모와 실력을 갖춘 연습생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카메라에 노출이 되어야 그것이 대중에게 보여질 텐데, 그런 기회조차 갖지 못한 연습생들은 자신의 매력과 실력을 보여줄 기회조차 제대로 잡지 못해보고 그렇게 사그라져 갑니다. 안타까운 일입니다.
이런 부익부 빈익빈 현상은 사회 거의 모든 분야에서 볼 수 있습니다. 초기에 유리한 위치를 차지한 개인 또는 집단에게 스포트라이트가 쏠리면서 더 많은 자원을 확보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가지게 되고, 이게 선순환을 일으키면서 그 위치가 공고해지는거죠.
반대로 초기에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지 못할 경우 그 정도 수준에서 계속 맴돌면서 벗어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처음에 중소기업에 취직하면 이후 대기업으로 이직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에 가깝게 됩니다. 계속 고만고만한 중소기업만 전전하면서 박봉에 시달리게 됩니다. 간혹 중소기업에서 대기업으로 이직하는 케이스가 나오긴 하지만 매우 특수한 케이스이며, 이직한 이후에도 기존 대기업 직원들의 텃세와 차별 때문에 승진하는데 있어 많은 어려움을 겪습니다.
처음부터 대기업에 들어온 '성골'과 차별을 받는 것이지요. 그러다 보면 적응하지 못하고 퇴사하거나 아님 그냥 아무런 꿈도 비전도 없이 월급만 받으며 그렇게 하루하루 떼우는 회사원이 되어 그냥 그렇게 살아가게 됩니다.
대학생들이 기를 쓰고 재수, 삼수를 해서라도 대기업이나 공기업, 공무원을 노리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처음의 격차가 거의 평생 이어지게 되기 때문입니다. 대기업에 들어가면 명퇴를 당해도 억대의 돈을 받아 나올 수 있고 중소기업의 간부자리로 이직할 수 있는 기회를 노려볼 수 있습니다. 대기업 인맥이 있기 때문에 중소기업에 들어가서 대기업 상대로 영업을 한다던지 하는 식으로 일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잡을 수 있습니다.
더 높은 곳에서 시작하면 그 이후가 더 편하죠. 고시 패스해서 고위 공무원 하다가 퇴직하면 대기업에 이사급으로 스카우트 됩니다. 정부 상대로 하는 업무를 담당하게 되겠죠.
옛날이나 지금이나 부익부 빈익빈 문제는 참 해결하기 힘든 문제인가 봅니다.
'일상 다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사회의 안전불감증 (0) | 2020.02.26 |
---|---|
회사에서 업무효율을 떨어뜨리는 것들 (0) | 2020.02.25 |
인터넷 속 세상과 현실의 차이 _ 평범한 일상은 뉴스에 나오지 않는다 (0) | 2020.02.19 |
한국사회의 기초 질서 준수 수준에 대한 생각 (0) | 2020.02.18 |
육아의 어려움_아기 키울 때 주의해야 할 작은 팁 (0) | 2020.02.14 |